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pring
- 우분투에war배포
- MySQL
- frontend
- DB생성
- Lombok
- NullPointerException
- gradle
- pagination
- SpringBoot
- 스프링에러
- CloutNative
- windows10
- restful api
- springMVC
- K8S
- Seek_Keyset
- VUE
- MYSQL에러
- SQL
- appleM1
- 이클립스
- intellij
- wappalyzer
- Java
- minikube
- String
- offset
- Postman
- MySQL시작하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6)
미운 오리 새끼의 우아한 개발자되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GIVbX/btqHZkDPs8y/BLkpgFDuCyEDfMO44lHKe1/img.png)
1. Client가 Server에게 요청(Request)을 보내면 Dispatcher Servlet이 이 요청을 가로챔 2. Dispatcher Sevlet은 Handler Mapping에게 어떤 컨트롤러로 이 요청을 보내야 할 지 물어봄 3. 매핑된 메서드가 있는 Controller가 있다면 Handler Mapping이 이를 Dispatcher Servlet에게 넘김 4. 해당 Controller는 해당 요청을 처리할 비즈니스 로직이 담긴 Service를 주입(Dependency Injection) 받아 비즈니스 로직을 Service에게 위임 -> Service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함(DB접근 등) -> 모든 비즈니스 로직을 끝낸 Service는 결과물을 Controller에게 줌. 5. 결과물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5dae/btqHLZzFOuQ/MtDf2ILdptJNuvcb3B3tVk/img.png)
최근에 굉장히 자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툴이 있다. 바로 Postman. https://www.postman.com/ Postman |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API Development Simplify each step of building an API and streamline collaboration so you can create better APIs—faster www.postman.com 다운로드를 받아서 구글 로그인으로 로그인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상단을 보면 어떤 방식으로 요청을 할 것인지 POST/PATCH/PUT/DELETE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주소를 입력하고 Send를 누르면 요청이 전송된다. Params, Authorization, Head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DqXbK/btqHNwXhJoY/Teysp328sS8qoIHnyh0cek/img.png)
어제부터 MySQL Client Command Line에서 비밀번호를 치면 창이 꺼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했다. 흠;;뭐지?!! 내가 뭐 잘못눌렀나?? 몇번 다시 해보니까 되길래 계속 사용하고 있었는데 지금 또 꺼져버린다... 구글링 해보니 이런 현상이 잦은가보다. 그래서 다른 이들의 블로그에 올라온 해결책을 시도해보았다. 1. cmd창에서 MySQL Client Command Line bin파일에 가서 mysql -u root -p를 입력한다. Enter password:가 떠서 MySQL root password를 입력했는데 위의 사진처럼 에러가 뜬다. 에러메세지: ERROR 2003 (HY000):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localhost' (10061) 이 에러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ly6jc/btqHBR18GZ1/xukKkQJvkBUaJGAOjMisHK/img.png)
저는 h2와 oracle DB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데 주로 oracle db를 사용했습니다. 이번엔 MySQL로 DB생성부터 사용자 추가, 테이블 생성까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10을 이용하여 진행했습니다. 윈도우 작업 표시줄 검색창에 'mysql'을 검색해서 'MYSQL 8.0 Command Line Client'를 엽니다. password를 입력하시고 1. DB 생성하기 1 CREATE DATABASE 생성할DB이름 DEFAULT CHARACTER SET UTF8; cs utf8을 기반으로하는 db가 생성됩니다. 1-2. 생성된 DB보기 1 SHOW DATABASES; cs 위의 쿼리를 입력하면 현재까지 생성된 모든 db의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2. 사용자 추가하기 1 CREATE US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grAlB/btqHNwWIaqn/IMoRGsEFMcjpu13HMCiGgk/img.png)
개발환경: IntelliJ + Spring Boot + Gradle + Windows10 Lombok을 플러그인으로 설치했는데 @No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했다. 인텔리제이를 써보는 것도 처음, Spring Boot도 처음, Gradle도 처음이라 하나하나 다 찾아가는게 시간이 오래 걸린다. 1. Lombok plugin install Alt+Ctrl+S를 눌러 Setting 창을 키고 Plugins -> Lombok install 2. Enable annotation processing Alt+ Ctrl+ S를 눌러 Build,Execution, Deployment 누른다. Compiler -> Annotation Processors에서 위의 사진과 같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6QL8L/btqHvKuPHob/To1JAzB1ZsiD8alA0QRC9k/img.png)
상세 에러 메세지: Multiple markers at this line - SpringJUnit4ClassRunner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 Class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처음에는 pom.xml에 dependency가 제대로 추가 되지않아서 그런건가 했으나, pom 파일은 문제없었다. 원인은 알수 없지만... 수동으로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 를 넣어주니 해결되었다. 스프링은 이렇게 자동 import를 해도 안먹히는 경우가 종종 있어 이렇게 수동으로 import를 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