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restful api
- springMVC
- 이클립스
- intellij
- windows10
- MySQL
- Lombok
- String
- 우분투에war배포
- SQL
- DB생성
- VUE
- offset
- appleM1
- CloutNative
- Postman
- Java
- NullPointerException
- wappalyzer
- spring
- MYSQL에러
- 스프링에러
- MySQL시작하기
- minikube
- K8S
- frontend
- gradle
- pagination
- Seek_Keyset
- SpringBoot
Archives
- Today
- Total
미운 오리 새끼의 우아한 개발자되기
[Postman] 포스트맨(Postman)으로 빠르게 API 테스트 해보자 본문
최근에 굉장히 자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툴이 있다.
바로 Postman.
Postman |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API Development
Simplify each step of building an API and streamline collaboration so you can create better APIs—faster
www.postman.com
다운로드를 받아서 구글 로그인으로 로그인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상단을 보면 어떤 방식으로 요청을 할 것인지 POST/PATCH/PUT/DELETE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주소를 입력하고 Send를 누르면 요청이 전송된다.
Params, Authorization, Headers, Body 등 내가 원하는대로 테스트할 값을 요청에 실어보낼 수 있다.
특히나 POST같은 경우에는 테스트가 쉽지 않은데 포스트맨 덕분에 너무 편하다.
하단에는 응답의 결과가 보여진다. 에러면 에러라고 뜨고 위의 사진같은 경우에는 내가 (200-OK)라는 json으로 보냈기때문에 이렇게 왔다.
사용하는게 정말 편리해서 더 일찍 알지못했던게 후회스러울 정도랄까,,,누가 만들었는지 증말 땡큐.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