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ombok
- gradle
- appleM1
- restful api
- String
- SQL
- intellij
- pagination
- CloutNative
- minikube
- K8S
- Postman
- 스프링에러
- spring
- NullPointerException
- wappalyzer
- VUE
- 우분투에war배포
- MySQL
- MYSQL에러
- frontend
- Seek_Keyset
- windows10
- springMVC
- DB생성
- SpringBoot
- MySQL시작하기
- Java
- 이클립스
- offset
- Today
- Total
목록IT 이모저모 (9)
미운 오리 새끼의 우아한 개발자되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xo5CW/btrRaDS93E9/E1fsh1WIneKD4hXUrxkpiK/img.png)
M1 pro 에서 Monterrey 버전을 쓰다가 이번에 Ventura 업데이트가 나왔길래 의심없이 개인 랩탑과 회사 랩탑을 업데이트 했다. 정말 큰 실수였다... System Preference -> System Setting 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다른건 뭐가 바뀌었는지 모르겠지만 업데이트하자마자 모니터 해상도가 갑자기 바뀌었길래 Displays 에서 확인을 했는데 외장모니터의 경우에는 기본 resolution 이 아니면 해상도가 엉망이된다. 삼성 U32J59x 4k 32 인치를 쓰는데 업데이트한 ventura 에선 기본 디스플레이가 1920 x 1080으로 세팅되어있다. show all resolutions 를 해서 2560 x 1440 을 선택하면 해상도가 엉망이 돼서 화면이 blurry 해진다..
마주할 때마다 헷갈리는 데이터의 단위... 1Byte 8bit 1KB(KiloByte) 1024Byte 10^3 1MB(MegaByte) 1024KB 10^6 1GB(GigaByte) 1024MB 10^9 1TB(TeraByte) 1024GB 10^12 1PB(PetaByte) 1024TB 10^15 1EB(ExaByte) 1024PB 10^18 1ZB(ZetaByte) 1024EB 10^21 1YB(YottaByte) 1024ZB 10^24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Software Architecture의 한 형식이다. 이 용어는 Roy Fielding의 2000년 박사학위 논문에서 소개되었다. REST 아키텍처에 적용되는 6가지 제한 조건 인터페이스 일관성(Uniform Interface) :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분리되어야 한다. 무상태(Stateless) : 각 요청 간 클라이언트의 콘텍스트가 서버에 저장되어서는 안된다. 캐시 처리 가능(Cacheable) : www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는 응답을 캐싱할 수 있어야 한다. 계층화(Layered System) Client/Server 구조 : 아키텍처를 단순화시키고 작은 단위로 분리(decouple)함으로써 클라이언트-서버의 각 파트가 독립적으로..
I've been working on Maven Project these days and I was wondering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Plugings and Dependencies. I guess you guys might had the same questions about it when you see POM which means Project Obeject Model. First, what is POM file? and what does this file do? POM is defined like below by Apache foundation website. POM is a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file that countai..
현재 회사에서 ongoing project가 이번에 개편을 하면서 ibatis를 mybatis로 전환하는 작업 중이다. 다들 알다시피 iBatis는 myBatis의 구버전이다. myBatis는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프레임워크 중에 하나이다 (Hibernate를 써보니 Hibernate가 좀 더 편리하다) iBatis를 myBatis로 바꾸면서 여러가지 문법 문제에 부딪혔는데 그 중에 하나가 태그 였다. iBatis는 null과 빈 문자열 모두 이 태그로 관리가 가능했지만 myBatis에서는 거의 모든 조건 태그가 로 바뀌었고..if test 안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게 다양해졌다. 는 으로 바꾸어주면 된다. 많은 포스팅에서 if test의 바깥쪽에 홑따옴표이고 안에가 쌍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PbDgg/btqJjuR1PVS/qBUePkg8KAGlHQkWh3dzLk/img.png)
개발자가 되어보니, 깔끔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어떤 언어로 개발되었는지 궁금해진다. 이를 알 수 있는 'Wappalyzer'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알게되었다.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지는 않았고 그들의 웹사이트에서 바로 이용했다. Technology lookup - Wappalyzer Price per lookup: 1 credit. Get 50 credits per month on a free plan. www.wappalyzer.com 위의 링크를 타고 사이트를 방문하여 상단의 Product를 클릭한다. 가장 위의 메뉴인 'Technology Lookup'을 눌러보자. 알아보고 싶은 웹사이트의 URL을 검색창에 입력한다. Sign up을 할 필요가 있다. Sign in을 하면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