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frontend
- K8S
- Seek_Keyset
- CloutNative
- gradle
- DB생성
- offset
- pagination
- String
- 이클립스
- SQL
- springMVC
- windows10
- Lombok
- minikube
- 우분투에war배포
- Postman
- 스프링에러
- wappalyzer
- MySQL
- spring
- NullPointerException
- MySQL시작하기
- appleM1
- MYSQL에러
- restful api
- intellij
- Java
- VUE
- SpringBoot
- Today
- Total
미운 오리 새끼의 우아한 개발자되기
웹사이트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는 Wappalyzer 본문
개발자가 되어보니, 깔끔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어떤 언어로 개발되었는지 궁금해진다.
이를 알 수 있는 'Wappalyzer'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알게되었다.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지는 않았고 그들의 웹사이트에서 바로 이용했다.
Technology lookup - Wappalyzer
Price per lookup: 1 credit. Get 50 credits per month on a free plan.
www.wappalyzer.com
위의 링크를 타고 사이트를 방문하여 상단의 Product를 클릭한다. 가장 위의 메뉴인 'Technology Lookup'을 눌러보자.
알아보고 싶은 웹사이트의 URL을 검색창에 입력한다.
Sign up을 할 필요가 있다. Sign in을 하면 매달 50개의 credit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 1번의 검색마다 1 credit이 소요된다.
참고) 찾아보니 2020년 4월에 해커들에게 한 차례 털린 경험이 있다고 한다. 약 16,000명의 사용자들의 이메일과 빌링 인포를 stolen당했다니, 조심할 필요가 있다. 사용할 때마다 번거롭겠지만 임시 이메일/일회용 이메일으로 sign up하는 것이 좋겠다.
네이버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네이버는 HTTP/2.0 을 지원하고 있다.
github을 검색해 보았다.
github은 루비 온 레일즈를 사용하는 가장 큰 웹사이트이다.
이외에도 react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이렇게 평소에 관심이 많은 웹사이트나, 혹은 기업의 웹사이트가 어떤 언어로 되어있는지 wappalyzer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한번씩 사용하기에 나쁘지않은 것 같다.
'IT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ean Code] 4장 주석 (0) | 2022.02.06 |
---|---|
[Clean Code] 6장 객체와 자료 구조 (0) | 2022.02.06 |
[Clean Code]10장 클래스 (0) | 2022.02.06 |
[Maven] Plugin vs. Dependencies (0) | 2021.01.23 |
iBatis isNot Empty 와 isEmpty 를 MyBatis 로 바꾸기 (2) | 2021.01.23 |